예초 정정순 시인 18번째 시집 출간
“시는 내 삶의 숨결이며,
독자의 삶을 위로하는 기도가 되기를 바랍니다.”
— 예초 정정순 시인
📖 시인이 걸어온 길, 그 오랜 정진의 궤적
예초 정정순 시인은
1998년 『문학공간』으로 등단한 이후
『맑은 하늘에 점 하나 찍었어』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18권의 시집을 출간한 중견 시인입니다.
단정하고 순수한 시어로,
사람과 자연, 고요한 삶의 풍경을 그려온 그녀는
**‘21세기의 허난설헌’**으로 불리며
문단 안팎에서 꾸준한 창작과 진정성 있는 행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녀의 대표작은
「사랑의 샘터」, 「아름다운 그대」, 「준비된 사람」 등으로,
많은 독자들의 일상 속에서
감동과 위로의 문장으로 회자되고 있습니다.
📚 시집 『회상』 — 기억, 치유, 그리고 자연의 언어
『회상』은 정정순 시인의 18번째 시집으로,
100편의 시를 5부로 나누어 구성하였습니다.
각 부는 시인의 삶의 철학과 내면을 투영하며
서정과 생명, 자연과 치유를 주제로 담담하게 노래합니다.
[5부 구성]
1부 — 회상
2부 — 책 속에 처방전
3부 — 건강이 최고
4부 — 기억의 창 열어 보니
5부 — 기를 맑게 해 주는 나무
시인은 이 책을 통해
“건강하고 서로 사랑하며 살기를 바라는 기도처럼
치유의 철학을 담고 싶었다”고 말합니다.
이 시집은 단순한 감성의 나열이 아닙니다.
한 인생이 건너온 시간과 사유의 결정체이며,
백옥처럼 맑은 시어로 빚어진 치유의 시집입니다.
🌳 자연과 교감하는 시인, 그 창작의 시간들
정 시인은 하루의 시작을
늘 산으로 향하는 길에서 시작합니다.
새벽 이슬방울 같은 단어들을 포착하며,
나무의 움직임과 바람결에서 시어를 찾아냅니다.
“시는 감성의 표출이 아닌,
자연과 교감하며 자신을 정화하는 과정입니다.”
그녀에게 있어 창작은
단순한 표현이 아니라 존재의 확인이며,
시와 그림 모두 그녀의 언어입니다.
그림에서도 <꽃향기>, <꽃 그림자>와 같은 작품을 통해
인생의 희로애락을 표현하며,
자연과 인간 내면의 조화를 회화적으로 보여줍니다.
🏆 ‘2025 한국을 이끄는 혁신 리더’ 선정
정정순 시인은 최근
『뉴스메이커』 선정 ‘2025 한국을 이끄는 혁신 리더’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는 그녀의 시와 회화가
예술을 넘어 대중과 소통하고, 삶을 위로하는 힘을 가졌다는
평가의 결과였습니다.
📌 주요 이력 요약
- (사)한국문인협회 문학지육성교류위원회 위원장
- (사)국제 PEN, 현대시인협회, 한국미술협회, 국전작가회 활동
- 허난설헌문학상 금상 / 일붕문학상 대상 / 다산문학 대상 수상
- 대한민국미술대전 입선·특선
- 2024 국가미술특별초대전 ‘최우수작가상’ 수상
🗣 작가 인터뷰 中
“시를 쓴다는 건,
나 자신을 향해 조용히 말을 걸어보는 일입니다.
『회상』은 그 긴 속삭임의 결과물입니다.”“저는 새로운 단어를 발굴하는 시간이 가장 즐겁습니다.
그 단어 하나가 시가 되고, 그림이 되기도 하죠.”“2026년에는 개인전시회를 준비 중입니다.
시 또한, 끊임없이 써 내려가고 싶습니다.”
💬 시평가: “인간적이고 따뜻한, 삶을 품은 시”
문학평론가 정성수 시인은 이렇게 말합니다:
“정정순 시인의 시는 인간적이고 따뜻합니다.
난해하지 않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으며,
잔잔한 감정과 치유의 감각이 깃든 생활시입니다.”
그의 말처럼 『회상』은
고통과 상처, 회복과 위로를 담은
한 사람의 인생 이야기이자
모든 독자의 마음을 조용히 두드리는 언어의 집입니다.
📘 도서 정보
- 도서명: 『회상』
- 저자: 예초 정정순
- 출판 연도: 2025년
- 형식: 총 5부, 100편의 시 수록
- 장르: 현대 서정시 / 자연 / 치유
시집 정보와 특성
- 구성: 100편의 시 / 5부 구성 (회상·책 속에 처방전·건강이 최고·기억의 창 열어 보니·기를 맑게 해 주는 나무)
- 정체성: 삶과 자연, 기억과 치유를 잇는 서정의 언어
- 창작 배경: 매일 새벽 산을 오르며 자연과 교감, 단어 하나에 생명을 불어넣는 과정
구매 안내
- 쿠팡에서 구매하기 →
- 가격: 15,000원 → 13,500원 (10% 할인 중)
📎 이 책이 전하는 메시지
“삶이 벅찰수록, 시가 더 가까워져야 한다.”
『회상』은 지친 일상 속에서
다시 스스로를 일으켜 세울 수 있는
가장 조용하고 따뜻한 언어입니다.그 언어가, 당신의 마음에도 닿기를 바랍니다.